"美증시 급락 이유 따로 있었다…조정 마무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15/0001202253

 

"美증시 급락 이유 따로 있었다…조정 마무리"

지난주 미국 주식시장 급락세는 경기침체에 대한 우려 때문이 아니라 일부 헤지펀드들의 알고리즘에 따른 기술적 매도가 주요 원인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17일(현지시간) 폭스비즈니스와 CNBC 방

n.news.naver.com

 

지난주 미국 주식시장 급락세는 경기침체에 대한 우려 때문이 아니라 일부 헤지펀드들의 알고리즘에 따른 기술적 매도가 주요 원인이라는 분석

 

 미국 대형 투자은행 JP모건은 최근 보고서에서 "관세 불확실성으로 인한 미국의 경제성장 우려는 최근 미국 주식시장 조정의 주요 원인으로 거론된다"면서 "실제로 지난 한 주 동안 위험 자산 시장이 손실을 보고 미국 국채 금리가 하락함에 따라 자산 클래스 전반에 내재한 미국 경기침체 가능성이 계속 상승했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그러나 증시 조정의 주된 원인은 경기침체에 대한 우려보다는 알고리즘에 따라 주식을 사고파는 퀀트 헤지펀드 때문이었을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최근 미국 증시 조정은 주식 퀀트 펀드의 포지션 조정에 따른 것으로 보이며, 자산운용사들이 경기침체 위험을 재평가한 데 따른 영향은 크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또 "이런 분석이 맞고 미국 주식형 상장지수펀드(ETF)에 지금처럼 자금이 계속 유입된다면 미국 주식시장 조정은 대부분 마무리된 것으로 봐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도이체방크의 빙키 차다 수석 전략가는 최근 보고서에서 미국 주식이 아직 6% 더 떨어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그는 관세정책 불확실성이 이어지면서 소비자 및 기업의 신뢰도가 급락해 시장 매도세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 관세를 예고한) 다음달 2일까지 가중될 가능성이 크다고 평가했다.

다만 관세 불확실성에 대한 해결책이 있다면 하반기에 주가가 급격히 반등할 수 있다면서 올해 말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 목표치 7,000선은 그대로 유지했다. 이는 주가가 지난주 종가 대비 24% 올라야 달성하는 수준이다.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