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소개] 제주반도체

제주반도체모바일 응용기기에 사용되는 메모리 반도체를 개발·판매하는 팹리스(Fabless) 전문 기업으로, 자체 생산라인 없이 제품 설계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회사가 직접 설계한 반도체 제품은 외부 파운드리에서 위탁 생산되며, 후공정 검사 및 패키징을 거쳐 웨이퍼 또는 단품 형태로 공급됩니다. 특히 낸드 플래시 기반의 MCP(Nand MCP) 제품은 자체 설계 및 외부 소싱을 통해 생산되며, 회사 전체 매출에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초기에는 저전력 SRAM 개발로 사업 기반을 다졌으며, 이후 Pseudo SRAM(셀룰라램), DRAM, 다양한 낸드 MCP 제품군을 상용화하며 제품 라인업을 확대해왔습니다. 제주반도체는 일반 소비자용 시장은 물론, 특정 고객 맞춤형 주문형 반도체(ASIC) 시장까지 아우르며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http://www.jeju-semi.com/

 

Main - JSC

MCP(Multi Chip Package) MCP products include NAND MCP / eMCP and NOR MCP, and various combinations of products are prepared to meet the diverse needs of customers. Low Power DRAM LPDRAM has several Block Refresh PASR (Partial Array Self Refresh, Auto TCSR

www.jeju-semi.com

 

제주반도체 기업개요

기업개요 및 연혁

 

  • 설립: 2000년 4월 (처음 설립 당시 ‘EMLSI’라는 이름으로 시작) 
  • 코스닥 상장: 2005년 2월
  • 본사 이전: 서울에서 제주로 이전 후 2013년 ‘제주반도체’로 사명 변경 
  • 인재 채용 및 본사 이전 (2024년 7월): 제주첨단과학기술단지로 사옥 이전

 

 

 

 

 

제주반도체온디바이스 AI 관련주로 주로 분류되는데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1. 모바일 기기용 메모리 전문 기업

  • 제주반도체는 스마트폰, 태블릿, IoT 기기 등에 탑재되는 **저전력 모바일 메모리 반도체(SRAM, DRAM, NAND MCP 등)**를 개발·공급합니다.
  • 온디바이스 AI는 스마트폰이나 웨어러블, 자율주행 디바이스 등에서 기기 내에서 직접 AI 연산을 수행하는 기술로, 이를 위해 빠르고 효율적인 메모리가 필수입니다.

✅ 2. MCP·SIP 등 복합 메모리 솔루션 제공

  • 제주반도체는 다양한 MCP(Multi-Chip Package)SIP(System in Package) 형태로 메모리 모듈을 통합 제공하고 있어, 작고 빠른 AI 연산 환경에 적합합니다.
  • 예: AI 카메라, 스마트 디바이스 등에 적합한 고속·저전력 메모리 구현.

✅ 3. 엣지 컴퓨팅·IoT용 메모리 공급

  • 제주반도체의 고객군에는 엣지 디바이스, IoT 기기 제조사가 포함되며, 이들은 온디바이스 AI 연산을 위해 제주반도체의 메모리를 채택할 수 있습니다.

✅ 4. AI 연산을 위한 로우레벨 반도체 인프라

  • 온디바이스 AI는 고성능 프로세서뿐 아니라 메모리 처리 속도 및 효율성에 의존합니다.
  • 제주반도체의 Pseudo SRAM, Low Power DRAM, NAND MCP 제품군은 AI 기능이 탑재된 모바일 디바이스의 성능 최적화에 적합한 인프라입니다.

 

 

 

주요 제품 및 서비스

 

  • 모바일, IoT, 차량용 등 저전력·저용량 메모리 제품 설계와 판매
  • 주요 제품: SRAM, Cellular RAM, LPDDR4/5 SDRAM, NAND MCP (메모리 통합 패키지) 등
  • 외부 파운드리(동부하이텍·파워칩·윈본드 등)에 생산을 위탁하는 팹리스 구조

제주반도체 온디바이스 AI 관련주로 주로 분류되는데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1. 모바일 기기용 메모리 전문 기업

  • 제주반도체는 스마트폰, 태블릿, IoT 기기 등에 탑재되는 **저전력 모바일 메모리 반도체(SRAM, DRAM, NAND MCP 등)**를 개발·공급합니다.
  • 온디바이스 AI는 스마트폰이나 웨어러블, 자율주행 디바이스 등에서 기기 내에서 직접 AI 연산을 수행하는 기술로, 이를 위해 빠르고 효율적인 메모리가 필수입니다.

✅ 2. MCP·SIP 등 복합 메모리 솔루션 제공

  • 제주반도체는 다양한 MCP(Multi-Chip Package)  SIP(System in Package) 형태로 메모리 모듈을 통합 제공하고 있어, 작고 빠른 AI 연산 환경에 적합합니다.
  • 예: AI 카메라, 스마트 디바이스 등에 적합한 고속·저전력 메모리 구현.

✅ 3. 엣지 컴퓨팅·IoT용 메모리 공급

  • 제주반도체의 고객군에는 엣지 디바이스, IoT 기기 제조사가 포함되며, 이들은 온디바이스 AI 연산을 위해 제주반도체의 메모리를 채택할 수 있습니다.

✅ 4. AI 연산을 위한 로우레벨 반도체 인프라

  • 온디바이스 AI는 고성능 프로세서뿐 아니라 메모리 처리 속도 및 효율성에 의존합니다.
  • 제주반도체의 Pseudo SRAM, Low Power DRAM, NAND MCP 제품군은 AI 기능이 탑재된 모바일 디바이스의 성능 최적화에 적합한 인프라입니다.

 

글로벌 경쟁력 및 인증

  • 2024년 '세계일류상품' 선정: 메모리 팹리스 분야 글로벌 4위권으로 평가됨 
  • 퀄컴 5G 모뎀용 메모리 인증 획득 (2020년) 

 

재무 및 경영현황

 

  • 2024년 실적(연결 기준):
    • 매출: 1,623억 원
    • 영업이익: 96억 원
    • 순이익: 194억 원 
  • 2023~2024 비교: 매출·순익 급증(각각 약 +11%, +15%), 그러나 영업이익 46% 감소
  • 2025년 3월 기준 직원 수: 134명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4/0005377894

 

"제주반도체·파크시스템스 등 혁신성 보유" [제15회 강소기업포럼]

"이번에 상을 받은 기업들은 공통적으로 혁신성에서 탁월한 역량을 보유했습니다." 16일 파이낸셜뉴스가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진행한 '제15회 대한민국 강소기업포럼' 부대 행사로 열린 '

n.news.naver.com

- 제주반도체는 메모리반도체 틈새시장을 공략해 성공한 사례

- 제주반도체는 전체 메모리반도체 시장 중 15% 정도를 차지하는 저용량 분야에 뛰어들어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

- 파크시스템스는 스위스 린시테크, 독일 아큐리온을 잇달아 인수하며 글로벌 계측장비 회사로 도약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

 

https://www.fi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232883

 

온디바이스 AI 관련주, '함박웃음' 제주반도체·삼성전자... '눈물이 주륵주륵' SK하이닉스

[현대경제신문 홍미경 기자] 온디바이스 AI 관련주들이 전 거래일 대비 2.94% 상승으로 장을 마감했다.3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제주반도체, 삼성전자는 상승했다.제주반도체와 삼성전자는 전 거

www.finomy.com

- 제주반도체는 글로벌 양자 기술 상용화를 선도하는 QED-C가 한국 내 양자 생태계 협력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판교 사무실을 방문했으며, 이 과정에서 제주반도체가 주요 협력사로 언급됐다고 밝혔다.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등 글로벌 빅테크가 참여하는 QED-C와의 협력은 제주반도체가 국내외 양자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을 낳으며 시장의 기대감을 높였다.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